주식투자공부

[주식] 주식 체결 기준과 체결되지 않은 주식은 어떻게?

해피꾸러기 2017. 8. 30. 22:43
반응형

매매가 체결되지 않은 주식


 주식매매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매도와 매수 주문이 거래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각기 가격와 수량이 맞아떨어지는 상대를 만나야합니다. 이렇게 매도,매수 주문이 가격와 수량 면에서 맞아 떨어져 매매가 성립되었을 때 “거래가 체결됐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매수주문을 냈더라도 시장에 나오는 매도물량이 없거나 가격이 맞지 않으면 주식을 살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가 B주식 100주를 주당 1만원에 사겠다고 주문했을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A가 원하는 대로 주식을 사려면 주식시장에 같은 종목 100주를 1만원에 팔겠다는 주문이 나와야 합니다. 그런데 주식시장에 나온 매도주문이 1만원에 50주만 팔겠다는 게 전부라면 50주만 거래가 체결됩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체결되지 않은 주식 50주는 어떻게 될까요? 증시 규칙에 따라 당일 증시 장이 마감될 때까지만 유효합니다. 장이 끝날 때까지 체결되지 않은 주식은 자동 취소되는 것입니다. 


매수 주문 금액 매도 주문 금액 다를때는 어떻게 거래가 이루어질까요?


이런 경우에는 증시에서 3가지 원칙에 따라 매매가 체결됩니다. 


 주식 매매가 체결되는 기준 : 가격, 시간, 수량



1. 가격 : 매도호가낮은 것이 높은 것에 우선하고, 매수호가높은 것이 우선합니다. 가장 낮은 매도호가를 가장 높은 매수호가에 우선 연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투자자 A가 B주식 100주를 주당 100만원에 사겠다고 주문하고, 다른 투자자 C는 B주식 100주를 100만 1000원에 사겠다고 주문을 한 상태에서 매도물량이 100주가 나왔을 경우 어떻게 될까요? 매수호가가 투자자 C가 더 높기에 C가 B주식 100주를 살 수 있게 됩니다. 이 날 매도물량이 100주뿐이었다면 A는 주식을 1주도 못 사게 되는 것입니다.


2. 시간 : 호가가 같은 주문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 먼저 주문한 쪽부터 거래가 성립됩니다. 즉, A가 B주식을 매수하겠다고 오전 10시에 주문하고 C가 10시 1분에 주문하게 되면 매도물량이 나왔을 경우 우선적으로 A의 주문이 먼저 체결됩니다.

 

3. 수량 : 그럼 호가가 같은 주문이 동시 여러 개 나왔을 경우엔 어떻게 될까요? 바로 주문 수량이 많은 쪽부터 거래가 성립됩니다. 투자자A와 B가 동시에 C주식을 100만원씩에 사겠다고 각각 100주, 110주를 주문하게 되면 주문수량이 많은 B의 매수주문이 우선 체결됩니다. 

반응형